평행코드

헷갈리는 개념 본문

끄적끄적

헷갈리는 개념

나의 오류는 누군가 겪었던 오류 2024. 1. 15. 20:34

 

🌕자바란

자바(Java)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로 개발된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. 제임스 고슬링과 그가 소속된 팀이 개발한 자바는 1995년에 처음으로 공개되었으며, 현재까지도 널리 사용되고 있는 언어 중 하나입니다.

 

🌕 싱글톤패턴 +

→ 싱글톤 패턴(Singleton Pattern)은 소프트웨어 디자인 패턴 중 하나로, 클래스의 인스턴스가 오직 하나만 생성되도록 보장하는 패턴입니다.

 

🌕 가비지컬렉션 → 자바의 가비지 컬렉션(Garbage Collection)은 자바 가상 머신(Java Virtual Machine, JVM)이 자동으로 메모리 관리를 담당하는 기능입니다.

자바에서는 개발자가 명시적으로 메모리를 할당하고 해제하는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됩니다.

대신, 가비지 컬렉션을 통해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객체들을 자동으로 탐지하고 해제하여 메모리를 회수합니다.

이를 통해 개발자는 메모리 관리에 대한 부담을 덜 수 있고,

메모리 누수와 같은 문제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.

 

🌕 new연산자

→ 클래스타입의 인스턴스객체를 생성해주는 역할

 

🌕 클래스 → 객체를 만들어내기위한 설계도 / 틀

 

🌕 객체 → 데이터와 그 데이터에 관련된 동작(절차 방법 기능)을 포함한 개념 데이터 + 동작

 

🌕 생성자 → 객체가 생성될때 호출되는 메소드를 의미합니다.

 

🌕 필드 → 필드는 클래스에 포함된 변수를 의미합니다.

 

🌕 리터럴 → 리터럴(Literal)의 사전적 의미는 '문자 그대로의'라는 뜻을 가집니다.

자바에서 리터럴이란 문자가 가리키는 값 그 자체를 의미합니다.

int num; num = 1;

변수 num을 초기화한 값 1이 바로 리터럴

 

🌟AJAX - 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 비동기통신 → 자바스크립트를 처리할 때 동기와 비동기 방식 처리를 잘 이해하고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.

내가 어떤 처리를 순차적으로 처리할 때는 동기 방식을 사용해야 하고

하는 것마다 빨리 처리해야할 때는 비동기 방식을 사용해야 합니다.

 

🌟접근제한자 → 변수 또는 메소드의 접근범위를 설정할 때 사용하는 것 입니다.

public : 같은 프로젝트 내 어디서든 사용가능

protected : 해당패키지 내, 다른패키지에서 상속받아 자손클래스에서 접근 가능

default : 해당 패키지 내에서만

private : 해당 클래스 내에서만

 

🌟errorr과 exception

오류(Error)는 시스템이 종료되어야 할 수준의 상황과 같이

수습할 수 없는 심각한 문제를 의미합니다.

개발자가 미리 예측하여 방지할 수 밖에 없습니다.

예외(Exception)는 개발자가 구현한 로직에서 발생한 실수나 사용자의 영향에 의해 발생합니다.

오류와 달리 개발자가 미리 예측하여 방지할 수 있기에 상황에 맞는 예외처리(Exception Handle)를 해야 합니다.

 

🌟프레임워크

프레임워크는 일종의 체계나 틀로서, 개발자들이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필요한 일부 기능을 이미 구현해놓은 상태로 제공되는 것입니다.

 

🌟라이브러리

라이브러리는 프로그래밍에서 재사용 가능한 코드의 모음입니다. 일반적으로 미리 작성된 함수, 클래스, 메서드 등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, 개발자가 필요에 따라 이러한 코드를 가져와서 자신의 프로그램에서 활용할 수 있습니다.

 

🌟 DDL DML DCL

DDL(Domain Definition Language)

DDL은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정의하는데 사용합니다.

데이터베이스, 테이블, 인덱스, 제약 조건 등을 생성, 수정 또는 삭제하는 데 이용합니다.

DDL의 몇 가지 예시로는 CREATE, ALTER, DROP 등이 있습니다.

 

DML(Data Manipulation Language)

DML은 데이터를 쿼리하거나 조작하기 위해 사용되는 언어입니다.

데이터의 검색, 삽입, 수정, 삭제 등을 수행하는 데에 사용합니다.

DML의 몇 가지 예시로는 SELECT, INSERT, UPDATE, DELETE 등이 있습니다.

 

DCL(Data Control Language)

DCL은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접근 권한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언어입니다.

사용자가 데이터베이스 객체에 대한 권한을 부여하거나 취소하는 데에 이용합니다.

DCL의 몇 가지 예시로는 GRANT, REVOKE 등이 있습니다.

'끄적끄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윈도우 11 정품인증 받는법  (2) 2023.09.23
백틱을 사용하는이유  (0) 2023.03.22
멘탈잡기!  (0) 2023.03.15