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push함수
- Spring
- 리액트
- Pug
- React
- dart
- Node.js
- 깃허브
- qqOperater
- 다형성
- 추상클래스
- 삼항연산자
- 오류
- 자바
- 코딩테스트
- java
- 배열
- 생성자
- mybatis
- int와 integer
- 자바스크립트
- 콘솔게임
- app.use
- DB
- Sort()
- git
- 네임드생성자
- Oracle
- js
- Middleware
- Today
- Total
목록전체 글 (101)
평행코드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nxQnH/btsBMT4Chqp/qKiLCxY3NtASdLIKbuYng0/img.jpg)
인터셉터 → 공통의 서비스를 구현할 때 사용 (ex 권한체킹할때) controller의 매핑메소드가 실행되기 전, 후, 응답처리 후 기능을 구현 인터셉터 구현하기 → Spring이 제공하는 HandlerInterCeptor인터페이스를 구현한 클래스를 선언 인터페이스에 정의된 필요한 추상메소드를 재정의 preHandler() postHandle() afterComplition() LogerInterceptor.java 파일 public class LoggerInterceptor implements HandlerInterceptor { //private Logger logger = LoggerFactory.getLogger(LoggerInterceptor.class); @Override public bool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vRQQA/btsBGWgKrgp/wBohpdHk6pLpq3hVEJk561/img.jpg)
pom.xml부분에 bean validator구현하는 라이브러리를 등록해준다 org.hibernate.validator hibernate-validator 6.2.5.Final dto부분 스프링에서 제공하느 어노테이션을 활용하여 validator 를 구현한다 public class Member { @NotEmpty(message = "아이디는 반드시 입력하세요") @Size(min = 4, message = "아이디는 4글자 이상 입력하세요") private String userId; @NotEmpty(message = "패스워드는 반드시 입력하세요") @Pattern(regexp = "(?=.*?[a-z](?=.*?[A-Z])(?=.*?[~!@#$%^&*()_+-=])[a-zA-Z~!@#$%^&*()_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2CLqe/btsBHsFVxKA/Cx8I7n5v9PDjGw0rI6hV2k/img.jpg)
파일로 로그남기기 log4j.xml파일안에 -> 원하는 경로 appender만들었으면 등록도 해줘야함 로그찍기원하는 곳에 가서 private final Logger logger = LoggerFactory.getLogger(MemberController.class); 이렇게 추가해주어야함다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JiQN0/btsBGviH9WI/nqdTpYQkTfTBKGQt4I5RdK/img.jpg)
root-context.xml 파일 3개의 DB연결에 필요한 bean을 등록함 1. Data연결정보를 저장하는 클래스 -> BasicDataSource클래스 2. SqlSession을 생성해주는 클래스 -> SqlSessionFactoryBean클래스 3. SqlSession 클래스 -> SqlSessionTemplate클래스 src/main/resources에 mappers폴더, mybatis-config.xml파일을 생성해준다. 생성시 템플릿이 없을경우, Preferences → XML Catalog → Add → Location, key에 입력 Location : http://mybatis.org/dtd/mybatis-3-config.dtd key : //mybatis.org/DTD Config 3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LG1BI/btsBypKb4V5/PsJAakvT4H00TnS9msCRt0/img.jpg)
스프링에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클래스를 제공함 Model클래스 → request와 생명주기가 동일함. addAttribute() 메소드를 이용 -> key, value형식으로 데이터를 저장 addAttribute("key",Object); model.addAttribute("demo",d); 클라이언트가 보낸 데이터에 대한 옵션설정하기 @RequestParam어노테이션을 이용 속성값을 설정함. value, defaultValue, required @RequestMapping("/demo/demo3.do") public String requestParamTest( @RequestParam(value = "devName") String name, @RequestParam(value = "devAge",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lef8j/btsBq1o6C34/bT7RaATCEOmySFphAibnqK/img.jpg)
어노테이션 Annotation은 클래스와 메서드에 추가하여 다양한 기능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. controller메소드에 주소맵핑 → SpringFramework가 제공하는 어노테이션을 이용 맵핑 @RequestMapping(”주소”) : method get, post 모두 매핑 @GetMapping(”주소”) : method가 GET 방식일때 매핑 @PostMapping(”주소”) : 요청 method가 POST방식일때 매핑 @PutMapping(”주소”) : 요청 method가 PUT방식일때 매핑 @DeleteMapping(”주소”) : 요청 method가 DELETE방식일때 매핑 어노테이션 선언위치 : 메소드 선언부 위 [또는 클래스선언부 위] 맵핑메소드 선언하기 반환형(리턴값), 매개변수, 어노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uSwJd/btsBrglblBy/FoysusXi4ab3M9QEYy36j1/img.jpg)
spring.io → project → spring Tools 4 → Spring Tools 4 for Eclipse → windows x86_64 이클립스 마켓 → web → Eclipse Enterprise Java and Web Developer Tools 3.31 다운로드 → 재시작 → preferences → web 생김 → 인코딩설정 preferences → 메이븐 클릭 → Download Artifact Javadoc 클릭 SpringToolSuite4.ini → 메모장 → -javaagent:D:\sts-4.20.1.RELEASE\lombok-1.18.30.jar 추가 Legacy ver jar 가져와 세팅 bean 등록 boot ver starter 모듈을 이용해 위에 legacy 1.2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