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git
- 콘솔게임
- Middleware
- 배열
- 네임드생성자
- 추상클래스
- push함수
- 자바
- dart
- 리액트
- java
- 삼항연산자
- Pug
- 다형성
- Oracle
- Spring
- React
- qqOperater
- js
- 생성자
- 자바스크립트
- int와 integer
- Node.js
- app.use
- mybatis
- 깃허브
- 오류
- DB
- Sort()
- 코딩테스트
- Today
- Total
목록전체 글 (101)
평행코드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78I7x/btsth481SOs/pCkWjXlEPVBED8OXoRny2k/img.png)
수학의 함수와 비슷하며 호출을 통해 사용 전달 값이 없는 상태로 호출하거나 어떤 값을 전달하여 호출 메소드 표현법 [접근제한자] [예약어] 반환형 메소드명( [매개변수] ) { // 기능 정의 } public void information() { System.out.println(studentNo); } 메소드 반환형 void : 반환형이 없음을 의미함, 반환 값이 없을 경우 반드시 작성 기본자료형 : 연산 수행 후 반환 값이 기본 자료형일 경우 사용 배열 : 연산 수행 후 반환 값이 배열인 경우 배열의 주소값이 반환 클래스 : 연산 수행후 반환 값이 해당 클래스 타입의 객체일 경우 해당 객체의 주소값이 반환 메소드 표현식 // 매개변수가 없고 리턴 값이 있을 때 public int information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iUwYI/btstnwwBx6K/PPVYfbc1JvMN8QUwAlmzz1/img.png)
배열선언과 할당 // 배열 선언 자료형[] 배열명 ; 자료형 배열명[ ] ; // 배열 할당 자료형[ ] 배열명 = new 자료형[배열크기]; 자료형 배열명[ ] = new 자료형[배열크기]; ex) int[] arr = new int[3]; int arr[] = new int[3]; 배열 초기화 방법 // 인덱스를 이용한 초기화 arr[0] = 1; arr[1] = 2; // for문을 이용한 초기화 ex) for(int i = 0; i < arr.length; i++) { arr[i] = i; } // 선언과 동시에 초기화 ex) int[] arr = {1, 2, 3, 4, 5}; int[] arr = new int[] {1, 2, 3, 4, 5}; String fruit[] = {"사과", "포도"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paRGR/btstmE9u9R7/3XGjXrVtGE5ebvujKZRrJk/img.png)
클래스의 등장 배경 - 객체의 특성에 대한 정의를 한 것으로 캡슐화를 통해 기능을 포함한 개념, 사물이나 개념의 공통 요소를 추상화(abstraction)하여 정의 ex) 제품의 설계도, 빵 틀 클래스는 설계도 객체는 제품 추상화 -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해 구체적인 것은 제거한다는 의미 프로그램에서 필요한 공통점을 추출하고, 불필요한 공통점을 제거하는 과정 (머리색이나 신체조건등...불필요한내용들제거) 구체화되어있는정보들을 뽑아서 정보를 만든다. 구체화되어있다는 것은 키 몸무게 각종 자세한 내용들을 다 알고 있어야하는데, 그런 정보는 필요가 없기 때문에 추상화를 시킨다 캡슐화 캡슐화 (Encapsulation) + (정보은닉) 데이터를 감춰놓고 내가 원하는 시점에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는 기능을 사용해서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xIgl3/btss3V3AzOC/S9ss2zTOKyiq3Ao60v4hx1/img.png)
가위바위보게임 1. 가위바위보게임 설명 - 사용자에게 가위, 바위, 보 중 한개를 입력하도록하고(입력방식은 숫자) - 컴퓨터가 랜덤값으로 세개중 하나의 데이터를 대입 - 컴퓨터의 값과 사용자의 값을 비교하여 다음의 결과출력 같으면 비겼습니다. 출력 후 다시 사용자와 컴퓨터가 선택할 수 있도록 로직구성 컴퓨터가 사용자에게 이기면 컴퓨터가 이겼습니다. 출력 사용자가 컴퓨터에게 이기면 사용자가 있겼습니다. 출력 - 승자가 나왔으면 다시 하겠습니다 출력 다시하면 위에 로직 다시 실행 종료하면 프로그램 종료 - 추가 : 만일 위내용을 쉽게 처리 했으면 프로그램 종료시 지금까지 전적을 출력 컴퓨터 승 00번, 사용자 승 00번 값을 입력받을 Scanner함수와 Random함수를 사용하기위해 선언해줍니다. 승리 시 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0pHaF/btss3IQJ1dV/3G4V0OeNdU3oMUzW1Egtyk/img.png)
간단한 몬스터사냥 콘솔게임을 만들어보았다 몬스터 사냥하기 게임의 간단한 출력 예시 //몬스터 사냥하기 게임의 사냥하는 기능을 만드시오. //출력 예) //사용법 //0. 사냥시작 1. 오크사냥 2. 용사냥 3. 사람사냥 99.끝내기 //선택 : //사냥을 시작합니다. //입력 : 1 //오크사냥완료 +1 exp //입력 : 2 //용 사냥 완료 +15exp //입력 : 99 //사냥을 마쳤습니다. //사냥한 몹의 수는 2마리, 획득한 경험치는 16exp입니다. 몬스터를 얼마나 잡았는지 획득한 경험치는 얼마인지 계산해주기 위해 변수를 선언해 줍니다. System.out.println("=====몬스터 사냥하기====="); System.out.println("0. 사냥시작\n1. 오크사냥\n2. 용사냥\n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glNUI/btssVMlTD3O/PkYdYRYhGFvVDQGgeqQGU0/img.png)
조건문 프로그램 수행 흐름을 바꾸는 역할을 하는 제어문 중 하나로 조건에 따라 다른 문장이 수행되도록 함 if문 if ( 조건식 ) { 수행될 문장; } else if ( 조건식2) { 수행될 문장; } else { 수행될 문장; } 삼항연산자 String result = (조건식) ? "참" : "거짓" switch문 조건식의 결과 값과 일치하는 case문으로 이동 default문은 일치하는 case문이 없을 때 수행( = else ) * (조건식)의 반환값은 int String enum 만 가능! switch(조건식) { case 값1: 수행될 문장; break; case 값2: 수행될 문장; break; case 값3: 수행될 문장; break; default: 수행될 문장; } 반복문 for문 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cF5uY/btssVUqGQ4g/qAjbRS9mr5qw82eL3aTDo0/img.png)
형변환 값의 자료형을 바꾸는 것 - 컴퓨터의 값 처리 원칙 같은 종류 자료형만 대입 가능 같은 종류 자료형만 계산 가능 계산의 결과도 같은 종류의 값이 나와야 함 - 강제형변환 -> 개발자가하는것 값의 범위가 큰 자료형을 값의 범위가 작은 자료형으로 변환 강제 형 변환 시 데이터 손실이 발생할 수 있음 데이터의 변형, 손실을 감수 - 자동형변환 -> 컴파일러가 알아서 해주는것 컴파일러가 자동으로 값의 범위가 작은 자료형을 값의 범위가 큰 자료형으로 변환 예시) int + double => double int iNum1 = 10; int iNum2 = 4; float fNum = 3.0f; double dNum = 2.5; char ch = 'A'; System.out.println( iNum1 / iNu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rDgQp/btssZgGYMUf/NlpLf9EZMZieUGbq6zUxGK/img.png)
변수의 선언 메모리 공간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할당하는 것 자료형(변수타입지정) 변수명(변수명지정); 선언예시 논리형 변수 선언 boolean isTrue; 문자형 변수 선언 char ch; 문자열 변수 선언 String str; 정수형 변수 선언 byte bnum; short snum; int inum; long lnum; 실수형 변수 선언 float fnum; double dnum; long 타입은 리터럴뒤에 L를 붙여준다. float 타입은 리터럴뒤에 f를 붙여준다. 데이터 저장 단위 - 비트(bit) 컴퓨터가 나타내는 데이터의 저장 최소 단위로서 2진수 값 하나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을 의미 - 바이트(byte) 데이터 처리 또는 문자의 최소 단위로서 8개의 비트가 모여 하나의..